신짱구의 개발일지

[Raspberry Pi5]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및 공유기 포트포워딩 본문

임베디드시스템

[Raspberry Pi5]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및 공유기 포트포워딩

신짱구개발자 2024. 11. 11. 15:28
더보기
  • Raspberry Pi Imager로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 공유기 포트포워딩

하드웨어 사양

  • Raspberry Pi 5
  • Micro SD Card 128GB

Raspberry Pi Imager로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Raspberry Pi Imager는 Raspberry Pi 재단에서 제공하는 공식 도구로, Raspberry Pi 운영체제를 포함한 여러 OS를 SD 카드나 USB 드라이브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1. 하드웨어 사양에 맞는 디바이스와 라즈베리파이 OS 그리고, SD 카드 저장소를 선택한다.

2. OS 커스터마이징

라즈베리파이 이미저에는 OS 커스터마이징 옵션이 있다. 깡통 OS만 설치하면 SSH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모니터를 연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물론 처음 내부망으로 접속한다면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모니터를 연결해야겠지만, 본인의 경우, 원래 사용하던 라즈베리파이에서 SD카드만 포맷하려는 목적이다. IP 주소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OS를 재설치할 때 귀찮게 모니터를 연결하지 않고 VScode Remote 환경에서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OS를 설치할 때 SSH도 활성화되도록 하고자 한다.

 

OS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들을 미리 설정하도록 한다. 본인의 경우, 사용자 계정과 WiFi 자동 연결을 위한 공유기 정보 그리고, ssh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등록해줬다. 한국 시간에 맞게 로케일을 미리 지정해주면 편한데 굳이 필요하겠나 싶어서 설치하지 않았지만, 결국 나중에 따로 설치했다ㅎㅎ..  

공유기 포트포워딩

집에서만 작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외부망에서 SSH 또는 VNC를 통해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위해서 공유기 포트포워딩을 해야 한다.

  1. 192.168.0.1 주소로 접속하면 현재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를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온다.
  2.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으로 들어가서 2개의 규칙을 만든다.
    • 첫 번째는 외부에서 ssh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위한 ssh 포트 포워딩이고,
    • 두 번째는 외부에서 vnc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위한 vnc 포트 포워딩이다.
  3. 규칙이름, 내부IP주소, 프로토콜, 외부포트, 내부포트를 지정하고 적용한다.
    • 내부 IP주소는 라파에서 ifconfig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 이더넷 혹은 무선랜 IP 주소이다.
    • 외부포트는 외부에서 IP와 함께 접근하기 위한 외부용 포트를 지정한다. 보안상 내부포트와 같게 하기보단 새롭게 지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 내부포트는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포트번호이다.
  4. 외부에서 cmd 또는 powershell을 켜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ssh로 라파에 접속한다.
    • 공인 IP주소는 공유기 기본설정이나 다양한 웹 플랫폼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ssh MJ@공유기공인IP주소 -p 외부포트번호